Prof. Lee GyeongHyeong's "ART TIES"
Neck Tie 기원,,,넥타이의 기원을 2세기초 로마시대의 보안용으로 착용했던 "포칼Focal"이라는 울 소재의 수건에서 찾기도 하나, 이를 실제 넥타이라는
액세서리의 원형으로 보기는 어렵다. 액세서리로서의 넥타이의 원형은 17세기 프랑스에서 소개된 "크라비트Cravate"라는 것이 연구가들의 일반적 견해이다.
크라바트 기원,,,1650년 당시 태양왕 14세를 섬기기 이해 파리에 온 크로아티아 장병들이 목에 감고 있던 천에서 유래한 것. 그들은 앞가슴에 천을 목에
감아 나비매듭을 하였는데 그 스마트함에 루이 14세가 매료되어 레이스나 자수로 가장자리를 장식하여 가슴까지 오는 길이의 크라바트를 만들었다.
이 시기에서는 군대나 귀족들만의 넥웨어였던 크라바트는 매는 법이 간소한 덕분에 일반인들에게도 폭넓게 보급되었다. 그후 1692년 루이 14세가 도이치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고 있는 전투를 벌이고 있는 시기에 전선에서 밤에 불의의 기습을 받은 프랑스군들이 크라바트를 멜 여유가 없어 단추구멍에 끼워 넣고 전투에 임하여
크게 승리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전장의 지명에서 따온 것이 "스타인커크" 식 매듭으로 이 유행은 1730년대까지 이어졌다.
그후 크라바트는 형태와 매는 방법이 다양한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패셔너블한 액세서리로의 원형이 완성되었다. 19세기 들어서서는 패션 주류가 프랑스에서
영국 런던으로 바뀌어지고 동시에 크라바트라는 심플하고 가볍게 매어지는 경쾌함이 추구되었다. 1850년대에는 크라바트의 앞쪽 매듭 부분만을 독립시킨
나비 넥타이가 등장하여 "두르다, 감는다"는 의미보다 "맨다, 묶는다"는 의미로 변화가 보다 강해졌다. 1870년에는 영국의 아스코트 경기장에 모인 신사들의
넥웨어로서 아스코트 타이가 등장하였다. 아스코트 타입의 넥타이로 발전하여 수병매듭으로서 매듭부분이 길게 된 "레가토Legato" 타이가 나타난는 등 넥웨어는
보다 심플해져 현재의 넥타이 형태로 보다 근접하게 된다. 1890년경이 되면서 현재의 넥타이와 동일한 대검과 소검의 형태로 묶어 늘어 뜨리는 식의 "포 인 핸드
for in hand" 타이가 등장하는데 이 포 인 핸드 타이라는 것은 사두를 세운다는 의미로 마부가 말고삐를 다루기 편하도록 고안된 매듭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포 인 핸드 타이"는 영국 신사 오스카 와일드 Oscar Wild가 창안한 것으로 이 묶기 쉽고 간편한 스타일의 넥웨어는 지금까지 남성패션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Prof. Lee GyeongHyeong.
패션그룹 "NonNo"디자인실장, 롯데백화점 본점 디자인실장을 지낸 Lee 교수님은 Designer로서의 화려한 삶을 내려놓고 현재는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강의하신다.
롯데그룹 본사사옥 8층 창가쪽에 Lee교수님의 디자인실이 있었다. PyoungSong Youth Center에서 작품전을 하실때 Lee교수님께서 입으셨던 하얀 커프다운 와이셔츠에
진한초록색 넥타이 차림,,,에 감색 양복차림,,,롯데백화점 본사 디자인실장 style의 멋진 모습이었다는,,,Bravo~ 실물은 사진보다 훨씬 더 멋진 분인데 사진이 좀 덜 나왔다는,,,,
그 전시회에 출품한 Lee 교수님의 작품은 녹차티백을 질료로 사용한 설치미술. Lee GyeongHyeong 프란치스코 교수님께 연세 드실수록 더 멋있어지는 비결이 뭔지 여쭤봐야겠다.
학생들에게도 강의도 무척 잘 하시고 학생들에게 친구처럼 삼촌처럼 인기가 최고인 우리 Lee GyeongHyeong 교수님,,,"EverGreen"
이렇게 멋진 교수님에게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아이는 代子인 김유민 라우렌시오. "라우렌시오",,,우리는 네가 부럽다.
"현대사회에서는 예술의 전통적인 형식이나 내용을 생활 속에서 담아내는 일련의 작업이 다양화되는 현상등을 쉽게 접할수 있다.
명화집에서만 볼 수 있었던유명 화가의 작품이나 캐릭터들이 제품이나 환경디자인에 접목되어 상호 이형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퓨전FUSON이라는 개별적인 형태의 장르속에 포함시켜 내용이나 형태적 미적 가치가 오히려 파괴되는 현상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포스트 모던Post Modern 이라는 장르 역시 그런 유사한 경험들을 볼 때, 이부덕교수의 "ART TIES" BOOKS은 이러한 맥락에서 깊이 들여다보면
그런 의시들이 얼마나 부질없는 사고의 잔재인가를 느낄수 있다."
"그의 단아하고 기품있는 외모에서 이미지는 순백의 박꽃 같은 느낌에 영혼마저 투명하게 느껴진다. 그래서 그의 작품 테마는 자연적이고한국적이고, 또 정갈해서 그의 모습과
많이 닮아있음을 느낄수 있다. 섬유 공예는 전통고예의 방식에서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서 평면과 입체또한 다양한 질료적 매체 활용을 통하여 섬유예술의 독자적인 한 분야로서도
인정된다. 또한 조형적, 공간적으로 설치미술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과학문명의 매체인 컴퓨터를 활용한 디지털 기법이 등장하면서 섬유공예는 다시 패브릭 디자인
Fabric Design으로서의 작품 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 젊은 작가를 중심으로 디지털 기법에 의한 섬유작품이나 유사한 디자인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부덕교수는 그 연세에도 불구하고 섬유공예분야에 디지털기법을 적용하여 그의 작품이나 산업디자인 측면으로서도 국내에서는 처음 시도하고 그 결과를
실천적으로 완성시킨 업적으로도 충분히 가치를 인정받을수 있다. 그래서 기법으로도 전통과 현대의 접목, 과학과 예술의 접목, 또한 공간 설치를 통한 예술 장르
로서의 시도, 패션의 한 부분인 넥타이라는 지극히 한정적인 형태를 통해 그의 작품을 표현한 것 또한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이부덕교수의 "ART TIES" BOOK은
이러한 모든 요소들을 아우르고 한 곳에 응집시켜 한 개인으로서의 삶에 완성도에서도 큰 의의가 있다. 국내외 현실을 볼 때 넥타이를 활용하여 이렇게 다양한
작품을 완성하고 편집하기는 처음이다. 부디 그의 이러한 의미적 요소나 작업을 통하여 섬유예술, 섬유디자인 분야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사례집으로
잘 활용되어 더 발전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개대해 본다." Prof. Lee GyeongHyeong.
"ART TIES"에 실린 책속의 사진들은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위치한 "윤증고택"에서 연출되고 촬영되었었다.
In this Modern Society, We can connect our traditional artstic formations, daily routines, and Incidental
hapenings with a series of phenomera . A new kind of genre could be born by adapting
those characters and works of famous arties, which We can see in the their work.
We can observe the worsening situation in the sense of artic beauty, due to ill-fated fusion skills, in an attempt to
develop and create a new genre. It could be the art producers' fallacy, that is, these kinds of happenings can be
easily seen in a case of "Postmodernism" trials . Professor, Buduk Lee's new genre trial named "Art Ties"
might be also regared as a non-productive and unfufulled misson in the cultivation of a new genre attempt.
But if We can take a close look at her works one by one, We can re-evaluate our earlier concept and consciousness
concerming the above-mentioned non-productive logic. It was own poor judgement of the fact finding, concerming art itself.
We can judge and evaluate her artstic and moral sense as the purest white symbolic image, through her
evoking of a simple, clean, lucid, and noble character. And thus, We can feel and appreciate her works' thematic
images as the essence of genuire Korean tradition. Her works resemble her innate characte. Textile handicraft art
is a recognized independent field in the textile/ fabrics art world, which is deriv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art
type but is emerging as a creaive modern art genre. In a sense, it could make all the materials of the textile field
fully available through their adaptation to various kinds of media.
Furthermore, it is developing as two areas of creative spatial art and figurative art, Also the technique and genre
named "digitally creative art" was merged by using compulized solution. With these computer solutions, it has developed
as "Faction Design" As of today. We can see the development of fabric works and other similar works, coming from the
use of digital technique among the young and dynamic artists. Consequntly, it is hard to taste the real value of precise
fabric art work when the computerized design art work is in compasion with the old hand printing methodlogy.
Percuilarly, in spite of this stream of value-jdgement. Professor, Buduk Lee is now becoming recognized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computerized fabric art cultivation, in what is called, digital technique. This approach is newly introduced
and widespread as an aspect of industrial design here in Korea, in this area, her work is highly esteemed.
We can give her the best compliment for adapting the "neck tie". Which is a part of the costume fashion field,
by recognizing her contribution to this modermized scientific figure art genre. We can give her a big noteworthy
credit for cultivating this newest genre. Her development work can be seen as a trimphant success in the process
of the exact fusion work of fabric art named "Art Ties". It could be her personal achievement in the course of her life itself.
We can have high hopes for this experimental approach and it should be a stepping stone inthe development of the
fabric arts. She wants this exhibition of her art work to be a good exemplification for the learns of fabric art.
In addition, she hopes this contribution will be accepted as part of the fabric arts'
underlying image, art itself, and the fabric design field.
Thanks to all of you who deep interests and concerms with this new field of fabric art.
Writtened by Prof. LEE,GyeongHyeong.
'Paper Sp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의 기도 (0) | 2013.01.01 |
---|---|
2012년을 보내며,,, (0) | 2012.12.31 |
예수성탄대축일 미사, 그 아름다운 순간 (0) | 2012.12.26 |
유흥식라자로대주교 예수성탄대축일 메시지 (0) | 2012.12.25 |
Merry Christmas~ (0) | 201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