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여정

너는 나의 계절이고 나는 너의 봄이기를,,,,,,,

아름다운 여정

Paper Spoon

친구야 놀자, 윷놀이

안젤라Angella 2013. 2. 1. 06:00

자, "윷놀이"

 

 

 

 

"첫도유복이라" "첫 모 방정에 새 까 먹는다"

 

                                                           처음 나오는 도는 복이 있어 이긴다고 스스로 위로한다

 

상대가 처음 모가 나오면 그 판을 실속이 없다고 야유한다

 

                                                이렇게 윷판을 달군다  윷을 던지는 동작에 저절로 힘이 실린다

 

섣달 그믐밤

 

잠이 마구 쏟아진다  졸아서는 안 된다 하면서도 눈까풀이 저절로 붙는다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도 가물가물해진다

 

 

 

 

"그만 자거라 이젠 괜찮다"

 

지켜 보던 할머니가 혀를 차며 손자를 누이려 한다.  녀석은 더 바짝 몸을 세우며 으스스 진저리를 친다

 

섣달 그믐날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기에 두려워 눈을 붙일수가 없다.    겨우 잠들었다 싶었는데 벌떡 일어나서 배를 움켜쥐고 화장실로 향한다.

 

음식 장만 하는 곁에서 얼마나 주워 먹었기에 저리 급할까.

 

 

 

 

녀석들이 들고 설치던 설빔을 어머니가 다시 캐켜 잠든 머리맡에다 가지런히 두신다.  

 

 새로 산 운동화에다 어찌나 입을 맞추었는지  아직껏 입김이 서려있다.  막내는 운동화를 가슴에 꼭 껴안고 잠들어 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거울을 보기 바쁘다.  행여 눈썹이 샜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겨우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그처럼 늦게 잠들었는데도

 

다른 때보다 훨씬 일찍 일어나 설친다.  할아버님께서는 벌써 쇠죽을 퍼낸 여물솥에다 물을 끓여 두셨다.  오늘은 제법 목에까지 물칠을 한다.

 

어른들은 "녀석들 매일 오늘처럼 설치면 부자가 될텐데." 하며 대견해한다.

 

 

 

 

아이들은 바깥으로 나가고 싶어 안달한다.  설빔을 저 혼자만 입은듯 자랑하고 싶어서이다.  어머니가 어른께 세배드리고 나가야 한다며

 

아이들을 붙든다.  아이들 눈에 어른들이 얼마나 굼떠 보일까?

 

한 살 더 먹은데다 설빔까지 입으미 더 의젓해보인다.  행동이 부자연스럽지만 아이들은 새 옷 입은게 그저 신날 뿐이다.

 

설날 하루 정도는 얼마든지 참을수 있다.  세뱃돈으로 화약을 사사 터뜨리는 사내녀석과 색동저고리에 예쁜 인형을 안고 있는 여자 아이 모습이 너무 예쁘다.

 

 

 

 

차례를 모시고 성묘가지 다녀온 어른들은 술기운에 낮잠을 잔다.   사촌 육촌간에 편을 나눈다.  윷판을 벌일 참이다.

 

마침 볕살이 겨울답지 않아 아래채 마당에다 멍석을 편다.  다소 삭은 멍석에는 먹물로 윷판이 그려져 있다. 

 

무릎 높이에서 멍석 가운데서 지나게 줄을 친다.  종자윷은 눈에 넣어도 될만큼 작고 앙증맞다.  길이가 손가락 한마디 남짓하다. 

 

종자윷을 하려면 하얀  간장종지도 있어야 한다.  어른들의 도박성 윷놀이도 이런 종자윷으로 한다.  종지에 윷까치(윷짝)를 담아 흔들다가

 

줄 너머 상대쪽으로 던진다.  줄에 닿기만 해도 실격이다.  윷까치가 멍석 밖으로 튕겨 나가도 벚윷이라 하여 실격이다.  말은 보통 네 마리를 쓴다.

 

윷도 잘 던져야 하지만 말쓰는 기술이 더 중요하다.  자칫 상대에게 잡히기 때문이다.  도는 한 칸, 개는 두 칸, 걸은 세 칸, 윷은 네 칸,  모는 다섯칸을 건다.

 

윷이나 모가 나오면 보너스로 한 번 더 던지는 기회가 생긴다.

 

 

 

 

아트막한 초가 지붕이 마구 들썩인다.  훈훈한 정은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밤이 되자 어른들까지 합세하여 윷판이 벌어진다.

 

방에서 노는 윷은 장작윷으로 길이가 한 뼘은 된다.  박달나무로 만든 윷은 서로 부딪히면 카랑카랑한 소리가 난다.  제법 멋을 부리며 날린다.

 

"도가 나왔다"  처음 나오는 도는 복이 있어 이긴다고 위로한다. 상대는 모가 나왔다.

 

"첫 모 방정에 새 까 먹는다."   모가 나오면 그 판은 실속이 없다는 의미의 야유다.  이처럼 제것은 자위로 상대것은 야유로 윷판을 달군다.

 

아뭏든 윷놀이는 식구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고유놀이로 가족이나 이웃간 화합을 다지기 위해 권장할만하다.  일일이 말밭을 그려 놓기에는 종이도 귀하다.

 

보통 형제간에 윷놀이할 때는 "자리 가기"가 편했다.  당시 방바닥은 거의 돗자리였다.  돗자리에는 속실이 든 곳에 선이 있다.

 

이곳을 한 칸 씩 갔다 오는거다.  여기서도 가고 오고 하다가 상대에게 잡혀 새로 시작해야 하는 일이 자주 생긴다.  겨우 도로 출발하면서도 반환점을 되돌아오는

 

말을 잡는 통쾌한 기분이 어깨에 춤을 싣는다.  네 마리 말이 다 한 바퀴 돌면 "네 동이 다 났다."고 외치며 좋아한다.

 

 

 

 

윷놀이에서 지름길로 가고 상대를 붙드려면 도도 필요하고 개도 필요하다.  모나 윷만 필요한게 아니다.  세상살이도 마찬가지다. 

 

학식이 높고 똑똑한 사람만으로는 세상살이가 이루어질 수 없다.  설날 저녁, 녀석이 자정이 가까와졌는데도 뒤척인다.  그믐밤도 잠을 설쳤는데, 어른들

 

들썩이는 윷놀이 때문이 아니라 양괭이 때문이다.  양괭이는 정월 초하룻날 잠자는 아이들 신을 신고 간다는 귀신이다.  양괭이에게 신을 뺏기면 일년내내

 

재수가 없다고 한다.  남동생은 곁에서 벌써 깊은 잠에 빠져있다.  머리맡에는 바닥까지 깨끗하게 닦아 둔 남색 운동화가 함께 잠들어 있다.

 

 

 

 

윷놀이 놀이 방법

 

1. 윷, 말판, 말을 준비한다.

 

* 윷 ; 장작윷(장윷, 가락윷); 박달나무, 밤나무, 붉은 통싸리나무를 길이 15~20cm, 지름 3~5cm로 자르고 길이로 반을 쪼개 네 가락을 만든다.

 

* 종지윷(밤윷, 좀윷) ; 5cm 정도의 나무 조각 네 짝을 맞추어 조그만 종지에 담아 니졋다가 바닥으로 던진다.  주로 윷점이나 놀음에 썼다. 

 

이 밖에도 정식 윷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콩이나 팥, 연핑을 쪼개어 던져 놀던 콩윷, 팥윷, 연필윷도 있다.

 

2. 말판 ; 윷판에 그려진 29개의 점은 중앙의 추성을 중심으로 사방에 있는 28개 별을 상징하는 것이다. 

 

광활한 우주를 그려 놓고 누가 빨리 돌아오는가로 승패를 가렸다.

 

3. 돌, 바둑알, 동전 등으로 하는데 보통 네 개를 쓴다. 두 사람 이상이 편을 가른다.   *윷가락 두 개를 던져 순서를 정한다.

 

4. 윷을 던져 나온 도, 개, 걸, 윷, 모 중 하나에 따라 말을 말밭에 놓는다.

 

5. 먼저 말 네 개 (네 동)가 말밭을 돌아 출발점을 빠져 나오는 편이 이긴다.




 

  

 

2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