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새해 들어 처음 맞이하는 보름달
정월대보름 혹은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상원"은 도교적인 명칭으로 삼원(상원, 중원, 하원)중 첫번째이다. 새해 들어 처음 맞이하는 보름달로서 농사의 시작일이라 하여 매우 큰 명절로
여겼다. 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과 당일에는 여러곳에서 새해의 운수에 관한 여러 풍습들을 행한다. 정월은 한 해를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는
달이다. 1월 15일인 대보름날에는 점을 친다. 또 율력서에 정월은 천지인 삼자가 합일하고 시람을 받들어 일을 미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라고 설명된다.
한국에서는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본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현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으며,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한국에서는 정월대보름을 설과 같은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제사를 지냈다. 충청남도 연기군의 전의장승제, 전라남도 해남의 도둑잡이굿, 전라남도 완도의 장보고당제,
전라남도 보성군의 벌교갯제, 전라북도 고창의 오거리당산제, 경상북도 안동군의 도산부인당제, 경상북도 마령군의 마령동별신제, 강원도 삼척
억던남근제, 전라북도 김제군의 마현당제가 있다.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지어 먹으며 아침 일찍 부럼이라고 하는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데, 이렇게 하면 일년내내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부럼깨기), 또 귀밝이술을 마시고, 밤에는 뒷동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며 소원 성취를 빌고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하였다.
즉, 달빛이 희면 많은 비가 내리고, 붉으면 가뭄이 들며, 달빛이 진하면 풍년이 오고, 달빛이 흐리면 흉년이 온다고 믿었다.
대보름의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로는 볏가릿대 세우기, 용알뜨기, 놋다리밟기 등이 있고, 놀이로는 지신밟기, 용궁맞이 하회별신굿, 쥐불놀이,
사자놀이, 줄다리기, 차전놀이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더위팔기도 있다.
* 보름새기-설날과 같이 수세하는 풍습이 있어 온 집안의 등불을 켜놓고 지새웠다.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였는데,
가족중에 누군가 잠이 들면 장난삼아 밀가루 등으로 눈썹을 하얗게 칠해놓기도 한다.
* 더위팔기 - 보름날 해뜨기 전에는 다른 사람에게 한해 더위를 판다.
* 달맞이 -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을 맞으면서 새행의 풍년을 점치고 행운을 빈다.
달집태우기 -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때에 태우면서 풍년을 빈다.
다리밟기 - 땅에 놓인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기대하며 다리를 밟는 풍습이다.
지신밟기 - 영남지방의 대보름 문화로 농민들이 행렬을 이루어 집을 차례로 찾아가는 풍습이다.
액막이연 - 그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띄워 보내는 연,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 같은 글귀를 쓴다.
대보름에 차려 먹는 절식으로는 부럼, 귀밝이술 외에도 약밥, 오곡밥, 묵은나물과 복쌈등이 있다. 또 고사리, 버섯, 호박고지, 가지껍질, 무시래기 등
햇볕에 말린 묵은 나물을 물에 잘 식어서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고 건강하게 지낸다고 한다.
* 부럼 -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는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의미에서 밤, 잣, 호두 등 단닪나 견과류의 부럼을 먹는다. 이대 부럼(주로 밤의 껍질을 직접
깨물어 먹음) * 오곡밥 - 쌀, 보리, 조, 수수, 팥등의 다섯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어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 진채식 - 무, 오이, 호박, 박, 가지, 버섯, 고사리 등을 말려둔 것을 먹는다. 여러 집에서 아홉가지 나물을 아홉번 또는 열가지 나물을 먹기도 함.
* 약밥 - 물에 불린 쌀을 시루에 찐 뒤 꿀이나 설탕, 참기름, 대추 등을 쪄서 거른 것을 섞고 다시 진간장, 밤, 대추, 계피, 곶감, 잣 등을 넣어
시루에 찐 밥을 말한다. * 복쌈 - 밥을 김이나 취나무, 배추잎에 싸서 먹는다. 여러개를 만들어 그릇에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다음 먹으면 복이 있다고 함.
* 귀밝이술 - 보름날 새벽에 데우지 않은 잔술을 남녀구별없이 조금씩 마신다. * 솔떡 - 솔잎을 깔고 떡을 쪄서 나누어 먹는다. 정월대보름에는 세 집 이상
성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였다. 그리고 하루 세 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번 먹어야 좋다고 믿었다.
'Paper Sp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코치니치즈와 바인토마토 샐러드 (0) | 2013.02.25 |
---|---|
색의 연금술사가 붓으로 빚은 상상의 도자기 (0) | 2013.02.25 |
눈사람이 연출한 한밭수목원의 하얀겨울 (0) | 2013.02.24 |
피카소에 마티스의 색을 입힌 모던아티스트, 로메로브리토 (0) | 2013.02.24 |
보령 갈매못 카톨릭 순교지 문화재 지정 (0) | 201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