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오리연못 겨울정경 KAIST 정문을 지나면 본관 건물방향, 오후 1시 방향에 연못이 있어요. KAIST 사람들은 이 연못을 "오리연못"이라구 부릅니다. 이 연못에 청둥오리를 키우구 있어서 그렇게 부른다는데요, 사진 뒷편으루 마치 언덕처럼 보이는 곳이 "어은동산"입니다. 여기엔 벚나무가 많이 있어서 봄이면 벚꽃.. DaeDeok Innopolis 2009.01.06
예술가들에게 과학이라는 개념이 어떤 작품을 탄생시키게 되었을까? Artists, What is Science for You? 노진아의 <타이핑하세요, 나는 말을 할테니>라는 제목의, 로봇과의 언어 소통에 대한 인터렉션 작품입니다. 본관 건물 로비에 전시되구 있어요. KAIST 본관. HI-TECH한 KAIST의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 건물 설계, 그리구 조형물입니다. 이 건물 2층엔 우리 서남표총장님의 집무실.. DaeDeok Innopolis 2008.11.17
OPEN KAIST 2008 OPEN KAIST 2008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대학교"를 지향하며 정진하고 있는 KAIST에서는 미래 한국을 이끌어갈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격년으로 Open KAIST를 개최하구 있습니다. 올해로 5회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학과 소개프로그램, 흥미진진한 연구성과 전시.. DaeDeok Innopolis 2008.11.08
Open KAIST 2008 -Scientist를 꿈꾸는그대, KAIST로 오세요! Open KAIST 2008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대학”을 지향하며 정진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는 미래 한국을 이끌어갈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격년으로 Open KAIST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5회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학과 소개프로그램, 흥미진진.. DaeDeok Innopolis 2008.11.01
하트-하트 체임버오케스트라 연주회- KAIST Heart-Heart Blind Chamber Orchestra Concert 엘가의 Salut'Amour(사랑의인사>를 첫곡으로 연주는 시작되구 있었어요. KAIST Auditorium에 모인 1000여명의 관중들 앞에서, 시각장애인으로 구성된 하트-하트체임버오케스트라연주회는 그렇게 밝게,,,,,,,,,,,, 시각장애인(Blind)이 악기를 연주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겁니.. DaeDeok Innopolis 2008.10.30
후덕한 선비의 아름다운집, 윤증고택 윤증고택尹拯古宅은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노성산 남쪽 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윤증尹拯이 생활하던 원래의 고택은 유 봉이라 불리던 곳에 있었다. 1681년까지도 유봉에 살았다고 하니, 명확한 연대를 알 수 없지만 대략 말년인 18세기 초에 교촌 리 현재의 터에 집을 짓고 이사한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전통가옥은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의 건물로 나뉘어져 있다. 여러 개의 건물은 서로 흩어져 있기도 하지만 동시에 서로 묶여 져 있기도 하다. 윤증고택尹拯古宅은 크게는 사랑채, 사당채, 안채로 나뉘어져 있다. 이들 또한 흩어져 있음과 동시에서로 묶 여있다. 윤증고택의 경우 건물들이 나뉘고 묶이는데 있어 큰 특색이 있다. 건물들이 서로 묶이되 각 건물의 개성은거의 유지된 다는 점이다. 윤증고택에는 이런 특색을 만들.. It's DaeJeon 2008.10.16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 미리보는 이소연의 ISS 10일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미리보는 이소연의 ISS 10일 2008년 04월 08일 오후 8시 16분 여성과학자 이소연 씨가 러시아의 소유즈를 타고 우주로 향한다. 건설 10주년을 맞이한 최대 우주구조물인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10일간 18가지 과학실험과 한국을 알리는 퍼포먼스를 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초 우주.. DaeDeok Innopolis 2008.04.08
세계 각국의 최초 우주인 세계 각국의 최초 우주인 □ 세계 최초 우주인 러시아 - 유리 가가린 1934년생(男), 러시아 스몰렌스크주 출생 오렌부르크 항공학교 ○ 탑승시간 : 1시간 48분 ○ 우주인 훈련 및 비행과정 : 1961년 4월 12일 보스토크 1호(Vostok 1)를 타고 지구 상공을 일주. 인류 최초의 우주비행에 성공 ○ 사망: 1968년 제트 .. DaeDeok Innopolis 2008.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