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여정

너는 나의 계절이고 나는 너의 봄이기를,,,,,,,

아름다운 여정

Paper Spoon

길함과 상서로움을 표현하는 과일 문양

안젤라Angella 2013. 2. 28. 06:00

길함과 상서로움을 표현하는 과일 문양

 

 

 

한국의 전통문양에서 과실은 삼다(三多)를 상징하는데,  "삼다(三多)"라 하는 것은 다남(多男), 다복(多福), 다수(多壽)를 말한다.

 

삼다에 관하여는 "장자", 천지편"에 화의 국경을 지키는 봉인이 요 임금을 위하여 축원하여 "성인으로 하여금 부유하게 하시고, 장수하게 하시고,

 

아들을 많이 낳게 하십시오"라 하니 , 요 임금이 이에 답하기를 "다복은 일이 많고 다수에는 욕심이 많고 다남에는 누가 많다"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삼다를 상징하는 과실로는 복숭아, 석류, 불수감이 있다.  서왕모선도 즉 복숭아는 삼천년마다 곷이 피고, 삼천 년마다 열매를 맺는다 하여, 오래 사는 것을

 

상징하고, 불수감은 그 모양이 부처의 손과 같은 데다 불과 복이 소리가 비슷하다고 하여 다복으로 상징되고, 석류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어서

 

다지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식물무늬는 옷이나 침구의 자수를 비롯하여 가구 장석, 목조각, 능화판, 도자기 등에 다양하게 쓰여져 왔다.

 

장생의 시작, 복숭아, 복숭아는 일명 수도라 하였고, 또한 "서왕모의 복숭아"라고 불리어지기도 하였다.  송나라 구양수의 삼다설에 서왕모는

 

곤륜산에 살고 있는 신선으로 그가 가꾼다는 천도는 삼천년만에 한 번 꽃이 피고, 삼천년 만에 열매를 맺는다고 하였다.  전설적인 인물, 삼천갑자 동방삭은

 

이 천도를 훔쳐 먹고 오래 살았다고 전한다.  그래서 복숭아는 장수를 축원하는 잔치에 항상 상징적으로 놓이게 되었다.

 

"수성노인도"는 장수를 축원하는 그림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은 도교적인 신앙에서 비롯된 것인데, 수성노인은 대개 천도복숭아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민화에서는 큰 거북의 등에 서서 구불구불한 긴 지팡이를 잡고 한 손에 큰 복숭아를 들고 있으며 큰 파도 위를 건너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청화백자석류문각병, 조선시대, 18세기, 오사까동양도자박물관 소장품.

 

 

다손, 다남의 상징, 석류,  우리나라에 석류가 무늬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시대이며 알막새에 조각된 예를 들 수 있다.

 

이 무늬는 본래 서역에서 전해져 온 것으로, 석류나무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도 이즈음이 아닐까 짐작된다.  석류는 붉은 주머니속에 빛나는 씨앗들이

 

빈틈없이 들어 있어 다손과 다남을 상징하엿다. 또한  그 맛이 시어서 임신부들의 구미를 돋구었기에 아들 생산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또 일설에는 석류의 모양이 보석을 간직한 보주머니 같아서 사금대라는 별명까지 겸하여 부귀다남의 뜻을지녀 혼례복을 비롯하여 혼수, 침구, 가구장식,

 

능화판, 도자기 등에 많이 쓰여져 왔고 또 고건축의 단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청화백자불수감문대접, 조선시대, 19세기

 

 

복의 상징물, 불수감(佛手柑), 불수감은 감귤류에 속하는 과실로 중국에서는 남방의 광동지방에서 많이 나는데, 북방 사람들에게는

 

보기 드문 매우 귀한 과일이다.  이 과일은 겨울에 열매를 맺으며 빛깔은 선홍색이다.  모양이 부처의 손가락을 닮아서 불수감이라 부르며 특히 불교적인

 

상징 무늬로 많이 쓰여진다.  이 과일은 맑은 향기를 지니고 있어서 밀전과를 만들어 먹는다.  또한 불수의 불이 복과 발음이 유사하여 복의 상징으로도 여겨져온다.

 

석류가 불로초와 함께 그려질 때는 "백자장생"의 의미를 가지며, 황조와 더불어 그려진 경우에는 "금의백자"의 뜻을 나타낸다.

 

자손번창의 상징, 참외, 고려시대 상형청자에는 참외 모양의 주전자가 많이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그 손잡이와 뚜껑에 까지 참외덩굴 모양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참외 등은 덩굴손을 뻗어나가며 열매가 많이 달리고 또  그 속에는 씨앗이 많기 때문에 흔히 자손번창을 상징한다.

 

"시경" "대아"에 "면면과질"이라 칭하였는데, 이것은 자손번영을 의미한다.

 

청자상감운문표형주전자, 고려시대, 12세기

 

 

선악의 상징물, 호로(조롱박), 호로는 호리병박을 말하며, 속칭 표단이라 한다.  민속 신앙에 두창신이 표주박을 보면 달아난다고 하여 예전에는 정초에

 

어린아이들이 허리춤에 조롱박을 붉은실로 꿰어 매달아주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신선이 선약이 들어있는 호로를 항상 지니고 다니면서 사람의 병을 치료해준다고

 

하였다.  그래서 호로는 마를 물리치고 악한 병과 독을 없애주는데 영험이 있을뿐 아니라 장수부귀의 신통력이 있다고 믿었다.  도교 팔선 가운데 이철괴가

 

항상 몸에 지니고 있는 물건이기도 하다.    호로는 그 속에 수많은 씨앗이 들어있기 때문에 남성의 정기, 즉 많은 자식을 상징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돌을 맞은 아이의 의복이나 이불, 보자기, 혼수품, 도자기 등의 무늬로 많이 나타난다.

 

 

포도무늬암막새와당, 통일신라시대, 8세기

 

 

포도덩굴무늬와 동자, 포도문은 대개 포도덩굴을 달고 있는 포도당초문 형식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당나라때 인도의 금공미술에서 영향을 받아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전작품에 나타나는 포도금문에는 포도덩굴 사이에 천신이 보인다.  이 즈음에는 양귀비를 위하여 많은 직금공을 서역에서 징용하였다고 한다.

 

그때 이러한 포도, 석류 등 서역미술의 문양이 유행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유물인 해수포도문경은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미술품에서

 

포도문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도 지금까지 출토된 유물을 통하여 볼 때 아마도 통일신라시대 이전을 넘어서지 않을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문양에 내포한

 

상징적 의미는 장수의 다남자,다복, 다부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그 이전의 고식 인동당초문 형식과 혼합된 포도문은 좀더 화려하고 세련된 문양 형식으로 발전되었는데, 당시 우리나라는 통일 국가로서의 체제가 완성을

 

보게 되고 불교미술이 더욱 융성하던 때인 만큼 사찰과 궁궐도 좀더 화려한 양식을 갖추게 되었으며, 여기에 사용되던 기물은 물론 기와에도 더욱 화려한

 

장식 문양이 나타났다.   이것은 경주 일원과 안압지에서 출토된 많은 와당에 포도당초무늬가 나타나고 있는 사실을 보아서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백자투각포도당초무늬필통, 조선시대, 19세기, 일본 오사카 동양도자박물관 소장품.

 

 

고려시대 상감청자에는 12세기 전반경에 다양한 포도당초무늬가 나타난다.   자유분방하게 전개시킨 포도덩쿨 사이에 동자를 배치하여 한국적인 정취를

 

흠뻑 느끼게 하고, 마치 동화의 세계처럼 신비한 그림을 보여주는 것도 있다.   여러 갈래로 휘감긴 덩굴을 타고 노는 동자는 중국 원대에 유행하던

 

백동자도에서 착안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그 인물들의 모습과 표정은 다분히 한국적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청자 양각 포도문, 동자무늬대접, 청자상감포도무늬

 

매병 등이 있다.  포도덩굴은 포도송이예는 흑상감하여 매우 사실적인 표현을 볼 수 있다.

 

 

백자철화포도무늬항아리, 조선시대, 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조선 시대에 와서는 청화백자와 철화백자에서 매우 사실적이고 회화적인 포도문이 나타나게 된다.   17세기경 청화백자에서는 매화, 대나무,

 

소나무 등 문인화풍의 그림이 많이 그려짐과 동시에 포도무늬도 그려지게 되는데, 수묵화의 필법을 그대로 도입하여 농담의 강약과 운필의 능숙함이

 

유백색 도자기의 원만하고 둥근 기면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대표적인 유물로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백자철화포도무늬항아리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백자철화포도무늬항아리를 들 수 있다.   조선 왕조 전기때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철화문은 중기에는 반추상된 문양으로

 

발전하였는데, 이 역시 조선 도자의 순박하고 순후한 문기(文氣) 드러낸다.

 

 

 

21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