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에 표현된 문과 창호의 살꾸밈
전통 살림집은 밝은 빛이 창호지에 투영하면서 은은한 나뭇잎 그림자가 밀황빛으로 빛나는 장판 바닥에 드리워지는
자연스러운 영상의 효과, 그리고 넉넉하면 넉넉한대로, 가난하면 가난한대로, 심성 그대로를 가식 없이 질소담박한 방치레로 정겨움을 동우었다.
상류사회일수록 이처럼 검소하고 조촐한 멋을 으뜸으로 삼아왔다. 창호는 본래 창과 지게문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즉, 호(戶)는 문과는 또 다르게
어떤 방에 드나들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하는데 안으로 들어간느 것도 있고, 한 짝으로 된 것도 있다. 우리나라의 목조건축에서는 창과 호가 혼용되어 쓰일
경우가 많아 창호라 부르고 있다. 창호는 창문이라고도 하며 창과 문으로 대표되지만 장지, 덧문, 두껍닫이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그 기원은
원시동굴 거주시데에 출입구를 막아 풍우, 한설 등과 외적을 방어했던 데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또한 각 기샏마다 중국과의 문물교류에 따라 기법이
촉진되고 반면에 일본 등지에는 절대적인 영향을 준 일도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러 차례 외침을 받아 전통이 사라지는가 싶은 때도 있었으나 창호 공장의 솜씨는 면면히 이어져 한국의 고유미를 이루고 있다.
(위 첫번째 사진은 창호중에 가장 아름답다고 평가받는 꽃살문 형태의 문)
완자팔각문(팔각형무늬의 빗살과 완자살을 함께 볼 수 있는문
창호는 건물의 공간부에 두어 여닫아서 통행과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채광, 통풍을 주로 하는 것을 창이라 하고,
사람과 물품이 드나들데 된 것을 문이라 하지만 엄격히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혼용하고 있다. 풍우, 한설 등의 자연현상에 대하여 또한 도난과
화재에 충분히 안전하여야 한다. 또 창호는 채광과 환기 등의 물리적 현상과 개폐와 이동 등에 의한 마모 또는 손상 등에 대해서도 안전하고 오래
지탱할 수 있는 장도가 있어야 한다. 한국 건축의 창호는 대부분 목조이고 창호지나 널이 주요한 면 구성채이다. 이는 창호의 용어에서도 잘 나타나는데,
기능과 용도, 장소에 관한 용어는 있어도 계절에 대한 용어는 거의 없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창호는 그 위치와 기능, 용도별로 선택되고 있고, 또 즐겨 쓰는 것이 있다. 창호지를 발라 채광을 도모하는 일반적인 창호는 세살문, 띠살문이다.
이보다 격조높은 건물에는 격자살로 하고, 이것을 더욱 화사하게 꾸민 것이 교살이다. 이것들은 모두 궁궐, 사찰, 서원, 사가 등 어디에나 쓰이며,
청(마루방)이나 방에 사용되며 창고나 헛청드으이 들창, 교창 등에도 쓰였다.
아자살창문
완자살 창호와 아자살 창호, 온돌방 문에는 완자살과 아자살이 주로 쓰인다. 완자살은 아자살보다 화려하여 안방 내실에 많이 쓰였으며,
아자살은 그 모양이 단정하여 사랑방에 쓰였다. 환자살은 사찰에서 주로 보여지지만 완 자 모양의 원형은 고대 아라비아 제국 또는 중국 등지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어서 불가에서 전용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완자살과 아자살은 혼합되거나 다른 문양으로 변화시킨 경우도 많다.
또, 창문살의 한 구획 내에 장식 조각을 넣어 더욱 미려하게 꾸민 것도 있다. 완자살이나 아자살의 형식은 각 지방마다 차이가 있다.
이 창문은 대개 미닫이로 하고 특수한 경우 외에는 여닫이로 하지 아니한다.
완자살이나 아자살은 시각 또는 조사하는 광선에 따라 면의 크기나 음영등이 변화무쌍하게 보이게 된다.
범살창
범살창은 창문살을 완자창이나 아자창보다 넓은 살을 田자, 用자 모양으로 드물게 넣은 것이다. 대개 유가에서는 검소 근엄함이
숭상되므로 주로 선비들의 공간인 사랑방 등에 쓰였다지만, 재료 구성상 가장 간편한 것이어서 민가에서는 어디나 쓰였다. 또 완자살이나
아자살과 같은 크기로 하고 두 줄로 나열하는 범살창도 있다. 이것은 평행선이 자아내는 미관을 응용한 것이다. 범살창호는 일반적으로 격식이 낮은
건물에 쓰이지만 간소한 느낌은 버릴 수 없는 운치가 있으며, 정원의 나뭇가지와 잎의 그림자가 여기에 비칠때 방안에서 보는 영상은 실루엣을 보는 감흥이 난다.
전라북도 김제군 내소사의 꽃살문
꽃살문은 궁궐이나 법당 등 증요한 건축에 쓰였다. 창문살에 문양을 조각하여 짜맞추면 미려한 연속 꽃무늬가 형성된다.
대개 6판 꽃무늬로 된 것이 많지만 4판 복원형으로 할 때도 있다. 이것은 창문짝의 면제를 한 자의 널로 구성하고 투조하여 무늬를 새긴것,
선살과 솟을살 또는 격자상 등에 무늬를 조각하여 짠 것과 살은 보통으로 하고 조각무늬를 덧붙여 대는 방법이 있으나, 덧붙이는 것은 근래에 와서
조잡한 방법으로 간주된다. 솟을살은 가장 많이 쓰이는 꽃살문으로서 그 형태 또한 다채롭다. 솟을살문의 살맞춤은 3교차되기 때문에
삼부턱으로 따서 짜맞추거나 선살을 건너대로 솟을살을 촉 또는 장부물림으로 한다.
숫대살 창호
솟대살창호는 일정한 길이의 살을 두개씩 나란히 세로가로 배열하면 생기는 문양으로 얼핏 보기에는 서고 엇결인 듯한 느낌이 든다.
살은 끝 마구리가 직교하는 살에 짧은 장부맞춤으로 하고, 중간 가로살의 한 두개는 장살로 하여 좌우선대에 건너지르고 긴 장부맞춤으로 한다.
이때 긴 가로살의 상하는 대칭형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숫대범살창호는 살이 가로세로 산가지 모양으로 배열된 것이며, 구조공법은 모두 아자살창호와 동일하다.
이것은 경북지방 또는 승방에 널리쓰여진 듯하다. 숫대살의 한 구획은 세로가 크고 가로가 작은 것이 보통이다. 범살창호는 살을 아자, 숫대살보다 나비는 크고
비교적 얇게 쓰고 田, 用, 井자 등이 간단한 구획으로 된 것이다.쌍줄범살창은 살 두 개가 좁은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범살창자의 일종이다.
이것은 평행 복선의 미를 응용한 것이며, 간결 청초한 멋은 비길바없는 것이다. 여기에 약간의 장식 조각물을 첨가하면 우아한 미가 풍길 것이다.
쌍줄범살창을 곱살창이라고도 한다.얼금팔모살창호는 정렬로 배치된 정각형의 모서리 또는 면에서 빗나간 살이 교차되면 팔각형 또는 오늬 모양으로 연결된
문양으로 되는 것이다. 이 창문은 미닫이, 미서기로 하며 창호지를 붙이는 것이 보통이고 높은 문에는 밑에 궁창 널을 붙이기도 한다.
'Paper Sp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를 상징하는 화훼무늬, 다남을 상징하는 초충무늬 (0) | 2013.03.03 |
---|---|
백제의 꽃담, 화려한 여덟 가지 무늬전돌 (0) | 2013.03.02 |
꽃담에 베풀어진 무늬의 미학, 민가의 꽃담 (0) | 2013.03.01 |
봄을 기다리는 이유 (0) | 2013.02.28 |
꽃담에 베풀어진 무늬의 미학, 궁궐의 꽃담 (0) | 201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