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조리, 새해엔 집집마다 복이 가득 담기기를 복조리, 새해엔 집집마다 복조리에 복이 가득 담기기를 "내가 어렸을땐 복조리가 있었단다 초하루 새벽에 찾아오는 복조리 장수를 할머닌 새해 첫 해돋이보다 더 크게 반기셨단다. 대나무 복조리를 식구 수대로 사들여서 안방에 대청마루에 고이 걸어두시고는 타고난 복만이라도 채워지.. Paper Spoon 2013.02.09
"꿩대신 닭"이란 말, 설날 떡국에서 유래했다 "꿩대신 닭"이란 말, 설날 떡국에서 유래했다 개성지방의 설날음식인 "조랭이떡국". 조랭이떡은 가래떡보다 굵기가 얇은떡을 누에고치 모양으로 빚은 떡으로 끓인 떡국이다. 모양이 매우 독특한 개성지방의 설 음식이며, 보쌈김치, 개성만두와 더불어 개성지방의 3대음식으로 꼽히는 음.. Paper Spoon 2013.02.09
대전양반춤, 한밭양반의 기상 낭만적 능청거림 대전양반춤, 한밭양반의기상 낭만적 능청거림 "대전양반춤"은 과학인들의 창의적 향상과 과학과 예술의 만남으로 지역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획된 전통창작무용인 만큼 독창성이 매우 눈에 띈다. 한국 무용계에서는 보기 드물게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을 주로 하는 대전시립무용단의 .. DaeDeok Innopolis 2013.02.08
연날리기, 에헤야디야 바람분다 연을 날려보자 연날리기, 에헤야디야 바람분다 연을 날려보자 "연날리기"는 한국의 민속놀이로 "연"을 날리는 것이다. 흔히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날리며, 액을 쫓는 주술적인 의미로 대보름에는 연에 "송액영복(送厄迎福)이라는 글을 써서 연실을 끊어 멀리 날려 보낸다. 즉, 그해의 온갖 재앙을 .. Paper Spoon 2013.02.08
친구야놀자, 제기차기 친구야 놀자, "제기차기" "제기차기"는 제기를 가지고 발로 차서 떨어뜨리지 않고 많이 차기를 겨루는 아이들놀이이다. 제기는 엽전이나 구멍이 난 주화를 얇고 질긴 한지나 비단으로 접어서 싼 다음, 양끝을 구멍에 꿰고 그 끝을 여러 갈래로 찢어서 너풀거리게 한 것인데, 주로 정초에 많.. Paper Spoon 2013.02.07
남편이 술자리에 참석하는 날의 술이야기 남편이 술자리에 참석하는 날의 "술이야기" 주선(酒仙)인 내 남편의 오랜 소망은 내게 술을 가르쳐서 남편과 내가 마주앉아 대작(對酌)하는 것이다. 술을 잘 마시고 주량이 센 남편과는 달리 나는 술(알코올)에 약한 편이다. 그렇다고 내가 술을 못한다고 내숭을 떠는 스타일은 아니고, 술 .. Paper Spoon 2013.02.06
역대 대통령들의 서명은 어땠을까? 역대 대통령들의 서명은 어땠을까? 오는 2월 25일 제 18대 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취임한다. 국가의 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국내에서는 최고의 통치권을 행사하고 대외적으로는 국가를 대표하는 자격을 가진 국가기관이다. 제18대 대통령.. Paper Spoon 2013.02.04
무사시에, 고품질 직물을 위한 섬유의 원천 식물 MusaceaeHanbat Arboretum Tropical Garden "무사시에(Musaceae)"는 파초과 파초목 식물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열대 아시아와 말레이지아 등지가 "무사시에(Museceae)"의 원산지이지만, 현재의 주된 생산지역은 인도, 브라질, 필리핀, 에콰도르 등이다. "무사시에(Musaceae)"는 3~10미터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여.. Botanic Garden 2013.02.04
가또블루, 로맨틱한 파란창문 디저트카페 Gateau BleuTart & Dessert Cafe "타르트(Tart)"는 윗쪽이 패스트리로 덮이지 않은 파이 형태의 패스트리 양과자의 일종이다. 보통 달콤한 맛이 나게 하여 먹는데, 양파 타르트, 블루베리 타르트, 타르트 타틴, 애플 타르트 등 여러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파이 도우(dough)는 밀가루, 유지, 물 등을 섞.. Paper Spoon 2013.02.03
아이방에 이그림 어때요? 작가가 들려주는 동화이야기 아이방에 이 그림 어때요?7인의 작가가 들려주는 동화같은 이야기 아이들은 자라면서 부모의 역할에 따라 다양한 경험의 폭을 가지게 되고 그 경험을 토대로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하게 된다. 물론, 그 경험의 폭과 성향에 따라 인격체의 모습이 달라지겠지만 성장기의 성장기의 어떤 경험.. Paper Spoon 201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