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흑백사진 강경을 걷다, 초기 근대건축 "갱갱이" 강경은 "강가의 햇볕고을"이다. 그래서 "강(가람 강)+ 경(볕 경)"자의 "江景"이다. 금강 하구 동쪽 기슭에 나지막이 엎드려 있다. 강 건너 서쪽 부여로 지는 저녁 노을을 바라보면 그 누구라도 넋이 빠진다. 몽롱하고 황홀하다. "놀뫼(論山)"라는 말이 나온 이유이다.강경 아래 남쪽.. It's DaeJeon 2013.06.17
나바위성당,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품은 고딕양식 강경을 지나 익산을 향해 차를 타고 달려가다 보면, 금강물이 굽이굽이 흐르는 평야 한가운데 사발을 엎어놓은 듯 작은 산이 있다. 이 산의 이름은 "화산(華山)", 우암 송시열이 이름 붙여준 곳이다. 이 산의 줄기가 끝나는 지점에는 광장 같이 너른 바위, 소위 "나바위"가 펼쳐진다. 이곳에.. It's DaeJeon 2013.06.16
오래된 흑백사진 강경을 걷다, 미내다리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평야가 발달해 있으며, 밀물이 높아 올라온다. 따라서 예전에는 하천을 거슬러 올라오는 밀물을 따라 내륙으로 들어오는 배가 많았다. 한강은 서울까지, 영산강은 영산포 부근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 강경천의 미내다리 10m 부근에는 바윗덩어리가 하나 있는데 밀.. It's DaeJeon 2013.06.16
정월대보름 둔산샘머리 느티나무 목신제 정월대보름 둔산샘머리 느티나무 목신제 "일년 열두달 동안 무사태평하고 부스럼나지 않게 해주십시오"라고 기원하며, 부럼을 깨먹는 정월대보름은 우리 민족의 명절 민속놀이중 여러가지가 몰려있을 정도로 의미가 깊은 날이다. 음력 1월 15일이 정월대보름이니 올해는 양력 2월 24일이.. It's DaeJeon 2013.02.22
장구춤, 우리가락과 춤사위 천년을 날아오르다 장구춤, 우리가락과 춤사위 천년을 날아오르다 "장구춤"은 장구를 어깨에다 비스듬히 메고 여러가지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원래는 호남농악의 우도굿 가운데 농악의 개인놀이인 구정놀이에서 출발하여, 1930년대에 현대무용을 배우고 돌아온 최승희에 의하여 본격적인 무대예술무.. It's DaeJeon 2013.02.07
500년전 철화분청사기의 고장, 이곳에가면 조선도공이 된다 500년전 철화분청사기의 고장, 이곳에가면 조선 도공이 된다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계룡산도예촌 임진왜란때 일본에 끌려가 일본 아리타(有田) 도자기의 도조(陶組)로 추앙받는 도공 이삼평( ? ~ 1655)은 충남 공주시 반포면이 활동 근거지였다.계룡산 뒷편인 반포면 상신리에는 이삼평.. It's DaeJeon 2013.02.01
과학과 건축의 만남, Expo Moving Shellter 과학과 건축의 만남, Daejeon Expo광장 "Moving Shellter" 대전엑스포 시민광장에 움직이는 대형그늘막(야외 콘서트 Hall)이 있다. Moving Shellter. 대전시에서 190억원을 투입해 엑스포시민광장(예전의 남문광장) 재창조사업을 시행, 2011년 7월 준공하고, 그해 8월부터 일반인들에게 선보였었다. 엑스포.. It's DaeJeon 2013.01.06
Well-being Cafe, 장애인이 운영하는 장애없는카페 Well-being Cafe, 장애인이 운영하는 장애없는 카페, 한밭수목원점. 탈무드에 "한 마리의 생선을 잡아주면 한끼의 식량이 되지만 생선 잡는 법을 가르치면 평생의 식량이 된다."라는 말이 있다. "But If I grab on of the fish, oen meal of food Teach how to catch fish is the food of My Life." 건강카페(Wellbeing-Cafe)는 .. It's DaeJeon 2013.01.05
살아 움직이는 봄과 같아라, 동춘당 "살아 움직이는 봄과 같아라", 東春堂 동춘당(東春堂)은 충청지방 별당건축의 한 표본이 되고 있는 동춘당은 조선시대 효종때 송준길(1606~1672)이 지은 별당이다. 송준길은 벼슬에서 물러나 이곳에서 많은 인재들을 양성하였다. 원래 동춘당은 송준길의 부친인 송이창(1561~1627)이 세운 별당.. It's DaeJeon 2013.01.04
Frank Lloyd's FallingWater는 남간정사를 모방한게 아니었을까? Frank Lloyd's "Falling Water"는 남간정사를 모방한게 아니었을까? 남간정사는 조선시대 중엽 대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세운 건물이다. 우암 송시열은 소제(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에 살고 있는 동안 홍능원에 서재를 세웠다. 이후 이 남간정사는 송시열 사후 문집을 판각하고 이를 보존.. It's DaeJeon 2013.01.03